반응형

2025년에도 은행권에서는 고금리 예금 상품들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준금리가 높아진 현재, 예·적금에 자금을 예치하려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하지만 단순히 이자율만 보고 가입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고금리 예금 상품에 가입할 땐 ‘BIS 비율’ 확인이 필수입니다.
📌 BIS 비율이란?
BIS 비율이란 국제결제은행(BIS)이 정한 자기 자본비율로, 은행이 리스크에 얼마나 대응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이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는 뜻이죠. 예금자 입장에서 BIS 비율은 곧 은행의 신용도와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 BIS 비율의 기준은?
- 일반적으로 BIS 비율 8% 이상이면 국제 기준을 충족한다고 보며,
- 국내 은행 평균은 보통 14~17% 수준입니다.
- 10% 이하로 떨어진다면? 해당 은행의 재무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고금리 예금, 왜 BIS 비율이 중요할까?
고금리를 제시하는 은행이 자금 유치를 위해 무리하게 조건을 높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은행의 재무 건전성(BIS 비율)이 낮다면 오히려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BIS 비율 8%인 A은행
- BIS 비율 15%인 B은행이 동일한 금리(4.5%)를 제공한다면?
더 안전한 선택은 B은행이 될 수 있습니다.
👀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
BIS 비율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또는 각 은행의 공시자료,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 BIS 비율 2025’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최신 공시자료 링크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 구직급여 수령 후 예금 고려 중이라면?
2025년 구직급여를 수령한 후, 목돈을 안전하게 굴리기 위한 선택으로 예금 상품을 고려하시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
단순히 이율만 보지 말고, BIS 비율이 높은 은행을 선택해 자산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고금리 예금 상품, 이자율만 보고 선택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은행의 안전성까지 꼼꼼히 확인하는 지혜로운 소비자가 되세요.
'앤이 알려주는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한부모가정 지원금 조건과 신청 절차 (0) | 2025.03.27 |
---|---|
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예수금·거래일·결제일' 차이 (1) | 2025.03.24 |
2025년 구직급여 제도, 이렇게 바뀝니다! (0) | 2025.03.24 |
주택도시기금 디딤돌대출,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 총정리 (0) | 2025.03.21 |
경상수치란? 경제용어 쉽게 정리해봤어요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