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편장부 vs 복식장부 쉽게 정리!

반응형

간이과세자, 간편장부, 복식장부, 장부작성법, 세무장부, 프리랜서세금, 자영업자장부, 종합소득세신고, 세무회계, 간이사업자, 1인사업자세금, 장부의무, 세무장부차이, 홈택스장부, 경비처리, 절세노하우, 장부템플릿, 세무팁, 장부쓰기, 장부정리, 장부양식, 장부자동화, 세무기초, 세금신고준비, 세금정보

간이과세자도 장부를 써야 할까? 간편장부 vs 복식장부 쉽게 정리!

프리랜서, 1인 소상공인, 소규모 자영업자 중 간이과세자로 등록된 분들이 흔히 하는 질문 중 하나.

“간이과세자도 장부 써야 하나요?”
“간편장부랑 복식장부는 뭐가 다른 거죠?”

간이과세자 장부 작성의 필요성부터, 간편장부와 복식장부의 차이, 작성 방법, 세금 혜택까지 한 번에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간이과세자, 장부 작성은 의무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간이과세자도 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비록 법적인 ‘장부 작성 의무’는 없지만, 장부가 없으면 기준경비율 방식으로 세금이 계산되기 때문에 세금을 더 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즉, 세금 절약을 원한다면 간편장부라도 꼭 쓰는 게 좋습니다.


장부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항목간편장부복식장부
대상 연 매출 7,500만 원 미만 개인사업자 일반사업자, 법인 등
작성 난이도 쉬움 (수입-지출만 기록) 어려움 (차변/대변 개념 필요)
제출 형식 간단한 장부 또는 엑셀 가능 회계 프로그램 필요
세금 혜택 실제 경비 인정, 절세 가능 경비 외에도 감가상각 등 다양

간이과세자 대부분은 간편장부 대상입니다.


간편장부란?

수입과 지출만 간단히 기록하는 장부입니다. 복잡한 회계 지식 없이도 엑셀이나 노트 앱으로 작성 가능하며, 세금 신고 시 실제 경비를 반영한 종합소득세 신고가 가능합니다.

 

기록 항목 예시

  • 날짜
  • 수입 내용 및 금액
  • 지출 항목 (영수증 필수)
  • 결제 수단 (현금, 카드 등)

복식장부란?

기업 회계 방식과 유사한 이중 장부 시스템입니다. ‘차변과 대변’을 구분해 자산·부채·자본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기록합니다. 보통은 법인사업자나 연 매출이 큰 일반과세자가 대상입니다. 간이과세자 중에서도 연 매출이 7,500만 원을 넘거나, 업종별 의무 대상자는 복식장부 작성이 권장됩니다.

 

주의: 복식장부를 작성하면 감가상각, 대손충당금 등 세무상 혜택도 많아지지만 복잡한 만큼 세무사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부 작성, 어떤 도구로 하면 될까?

간편장부 작성 방법 3가지

  1. 엑셀 –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수입·지출 내역 표로 정리
  2. 가계부 앱 – 자비스, 브로콜리, 삼쩜삼 등에서 세무 연동
  3. 홈택스 세무대리인 연계 – 일정 수준 자동화 가능

복식장부는 ERP, 더존, 세무회계 프로그램 등 전문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장부를 쓰면 세금이 줄어드는 이유

장부를 제출하면 실제 지출한 경비를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됩니다. 즉, 단순경비율이나 기준경비율보다 실제 지출이 더 많다면, 과세표준이 낮아져 세금이 줄어듭니다.

 

예시:

  • 단순경비율 방식 → 경비율 60%, 나머지 40%에 세금 부과
  • 장부작성 시 → 실제 경비 80%로 인정 → 과세 소득 줄어듦

이렇게만 정리해도 됩니다 (기본 양식 예시)

날짜수입내용수입금액지출내용지출금액결제수단
2025-01-10 디자인 작업비 1,000,000 카페 미팅비 12,000 카드
2025-01-15 영상 편집비 800,000 소프트웨어 구독료 25,000 계좌이체

마무리 정리

간이과세자도 장부를 쓰는 것이 종합소득세 신고와 세금 절세의 핵심입니다.

 

수입과 지출을 정리해두기만 해도, 절세와 환급 가능성이 확 높아집니다.

이제부터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세요. 간편장부만으로도 세금 줄일 수 있습니다!